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Tags
- SwfitUI
- Spring
- ios login
- WWDC21
- Xcode
- Explict Identity
- git branch strategy
- Identity
- bounds이해
- frame이해
- lazy 사용
- lazy 위험성
- mvc cocoa
- 적절한 사용방법
- Lazy
- TabBarItems
- 보라색오류
- native개발
- spring guide
- Quick Help
- swift
- consuming a restful web service
- xml delegate
- Demystify SwiftUI
- Your app is missing support for the following URL schemes: your_ios_client_id
- schemes
- ios
- Structural Identity
- Lifetime of SwiftUI
- view
Archives
- Today
- Total
목록frame이해 (1)
Dev_Dylan

Frame, Bounds의 차이는 무엇일까? 기술면접에도 단골이기도 한 Frame, Bounds 일단 Frame과 Bounds의 차이 Frame Frame 은 해석하는 그대로 '틀' 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아래 화면처럼 디바이스의 그 자체 화면에 고정되어있는 픽셀이라고 생각하면 좋다! 마치 아래 사진처럼 우리가 가지고있는 디바이스 화면 자체를 좌표계라고 생각하면 된다. Frame은 아하! 하고 그냥 디바이스 자체 프레임 위치라고 생각하면 되는군아! 싶지만 그렇다면 Bounds는? 똑같은 경계라고 생각이 되긴한다. Bounds 생각해 봤을 때 가장 이해하기 쉬운 것이 Sky Cam (스카이 캠)을 생각해보면 좋을 것 같다. 스카이캠은 축구장에서 사용되는데 한번즘 축구를 보면서 위에서 내려보는 화면을 봤다면..
iOS/iOS_Swift
2023. 12. 31. 19:16